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 주제는 구글애드센스 미국세금정보 등록하는 방법입니다. W-8BEN 등록이라는 안내문구가 나타나면서 새로운 양식을 등록하라는 안내문구가 보이실텐데요. 여기서 외국인 TIN 번호에 대해서 모르시는 분들이 많아서 이번 기회에 함께 알아보려고 합니다.
구글애드센스 미국세금정보
세금작성 양식으로 들어가면 첫 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금 ID에는 영문성명을 적어주시고 국가는 한국으로 설정합니다. 여기서 가장 궁금해하시는 납세자 식별번호 (외국인TIN) 라는게 있습니다. Taxpayer Identification Number의 약자로 미국에서 세금을 징수할때 필요한 식별번호라는 의미라고합니다.

납세자 식별번호 메뉴에서 첫번째 선택사항에서 없음을 선택하신뒤 다음 페이지로 넘어갑니다.
여기서 빈칸으로 두고 넘어가면 양식작성 후반단계에서 조세항목조항에 대한 선택을 요구하기때문입니다.
미국세금정보 세금양식 2단계
아래 표시된 빨간 사각박스 부분을 보시고 빈칸에 영문주소를 적습니다. 마지막에 체크 후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조세조약 및 우편수령 선택
빨간 사각박스에 표시된 선택지를 체크합니다. 이미지 화면을 잘 읽어보시면 “관련조세조약에 따라 적격한 수취인의 경우 이 세금이 감면되거나 면제될 수 있습니다.” 라고 적혀있습니다. 이 말인 즉슨, 미국에서 발생한 소득에 관해서 30%의 원천징수세율이 부과되지만 당신이 다른 나라 거주자라면 해당 국가에 맞는 세금합의사항에 따라 계산된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넘어가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미국에서 수행한 활동 서비스 단계입니다. 추후 미국에서 사업을 하실 일이 생기신다면 그때가서 수정도 가능하니까 너무 걱정마시고 “아니요”를 체크하시고, 체크 후 다음을 누르시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인증 서명
이제 인증서명 단계입니다. 빨간 사각박스 표시를 보시고 체크해주세요. 파란 박스는 빈칸으로 두고 넘어가시면됩니다.

스크롤을 내려서 아래화면과 같이 빨간 사각박스 부분에 체크하시고 제일 하단에 실명란에 영문이름을 작성하시고 제출을 눌러주세요.

여기까지하시면 모두 끝났습니다. 최종화면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면을 보시면 승인됨으로 나와있고, 밑에 보시면 세 가지 원천징수세율이 30%으로 나와있습니다. 미국의 원천징수세율 기본값으로 설정된 것이고 한국에 거주하면 한국과의 조세조약대로 계산됩니다. 다만 블로그를 운영하시면서 수익이 늘어감에 따라서 미리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어차피 추가적인 수입이 생기면 세금처리를 피할 수는 없기때문입니다. 사업자등록을 통해 블로그를 운영함에 있어서 지출되는 비용에 대한 부분에 대해 비용처리를 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컴퓨터 및 장비 구입, 새로운 장소를 조사하고 알아봄에 있어서 사용한 비용 등이 있습니다.
곧 사업자등록을 직접 신청 후 위의 과정을 다시 한번 진행하면서 사업자등록번호를 삽입하여 다시 신청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더 높은 수준의 포스팅, 적어도 비슷한 퀄리티의 포스팅으로 찾아뵙겠습니다.
